티스토리 뷰

제습기를 구매할 때 가장 많이 고민하는 것 중 하나는 바로 전기세입니다. 여름철 장마기간이나 겨울철 실내 습도 조절을 위해 매일 수 시간씩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소비전력에 따라 전기요금이 크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제습기를 하루 8시간, 한 달간 사용했을 때 실제로 전기요금은 얼마나 나올까요?

 

제습기 전기세 계산의 기본 개념

 

전기세를 계산하기 위해선 기본적으로 소비전력(W) × 사용시간(h)을 바탕으로 kWh를 구한 후, 여기에 전기요금 단가를 곱해 계산합니다.

 

 

예시 공식: 1kWh = 1,000W를 1시간 사용했을 때의 전력량 전기요금 = (소비전력 × 시간) ÷ 1,000 × 요금단가

 

 

현재(2025년 기준) 한국의 가정용 전기요금 평균 단가는 약 1kWh당 130~160원 수준입니다. 누진제를 고려하지 않은 평균치로 계산해도 실 사용량에 대한 감은 잡을 수 있습니다.

 

제습기 전기세 얼마나 나오나
제습기 전기세 얼마나 나오나

 

제습기 소비전력과 요금 예시

 

 

제습기의 전기세는 모델마다 천차만별입니다. 보통은 제습량(L/day)에 따라 소비전력이 올라갑니다.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는 10~20L급 가정용 모델을 기준으로 예시를 들어보겠습니다.

 

1. 소형 제습기 (200W)


하루 8시간 × 30일 사용 = 48시간 48 × 200W = 9,600Wh = 9.6kWh → 전기세 약 1,300~1,500원 수준

 

 

2. 중형 제습기 (400W)


하루 8시간 × 30일 = 240시간 240 × 400W = 96,000Wh = 96kWh → 전기세 약 13,000~15,000원 수준

 

 

3. 대형 제습기 (600W)


하루 10시간 × 30일 = 300시간 300 × 600W = 180,000Wh = 180kWh → 전기세 약 23,000~27,000원 수준

 

 

여기서 중요한 점은 에너지 효율 등급이 높을수록 같은 제습량을 유지하면서 소비전력은 줄어들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제습기 전기세 얼마나 나오나
제습기 전기세 얼마나 나오나

 

실사용자 후기와 절약 팁

 

실제로 제습기를 사용하는 사용자들의 후기를 살펴보면, 전기세에 대해 다음과 같은 의견이 많습니다.

 

 

“10L 모델 하루 8시간 썼는데 한 달에 2천 원도 안 나왔어요.”

 

 

“빨래 말릴 때만 돌리니까 전기세 걱정 없었어요.”

 

 

“에어컨 제습보다 확실히 저렴하네요.”

 

 

이처럼 제습기는 사용량 조절에 따라 전기요금을 유연하게 관리할 수 있는 가전입니다. 다음의 팁을 참고하면 전기세를 더 아낄 수 있습니다.

 

- 자동 습도 조절 기능 활용: 일정 습도에 도달하면 꺼지는 기능을 켜두면 불필요한 전력 낭비가 줄어듭니다.

 

- 예약 타이머 설정: 외출 중에는 제습기를 꺼두고, 저녁 시간대만 집중 운용하면 효과적입니다.

 

- 햇빛과 병행 사용: 빨래 건조 시 햇볕과 함께 제습기를 사용하면 더 짧은 시간에 효과를 볼 수 있어 전력 절약이 됩니다.

 

제습기 전기세 얼마나 나오나
제습기 전기세 얼마나 나오나

 

전기세 아끼는 제습기 고르는 기준

 

제습기를 고를 때 전기세 절감을 원한다면 다음 사항들을 꼭 고려해야 합니다.

 

1. 에너지 소비효율 등급 확인: 1등급 또는 2등급 제품이 장기적으로 절약됩니다.

 

2. 스마트 제어 기능: IoT 연동, 습도 센서, 타이머 등이 포함된 제품은 에너지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3. 용도 맞춤 용량 선택: 평수에 비해 과도한 제습량 제품은 불필요한 전력 소모만 초래합니다.

 

4. 자동 전원차단/에코모드 여부: 장시간 사용 시 필수 기능입니다.

 

특히, 중소형 모델을 사용하는 1~2인 가구나 원룸이라면 200~300W급 제품으로도 충분한 제습 효과를 볼 수 있으며, 전기요금도 한 달 3천 원 미만 수준으로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제습기 전기세 얼마나 나오나
제습기 전기세 얼마나 나오나

 

 

제습기, 걱정보다 전기세 적게 나온다

 

제습기는 전력소모가 높은 가전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사용 시간과 방식에 따라 얼마든지 합리적으로 운용이 가능합니다. 특히 최근 출시되는 제품들은 저전력 설계가 잘 되어 있어 하루 8시간 사용하더라도 부담 없는 수준의 전기요금으로 쾌적한 환경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필요에 맞는 제품을 골라, 전기세 걱정 없이 뽀송한 여름을 보내보세요.

 

제습기 전기세 얼마나 나오나
제습기 전기세 얼마나 나오나